뷰티쌀롱(248)
-
빚(부채)에 대한 잘못된 상식 15
빚(부채)에 대한 잘못된 상식 질문 1: 부채는 돈을 벌게 해 주는 수단이다? 진실: 부채는 리스크가 큰 투자수단이며 종종 생돈을 잃게 한다. 빚을 지렛대 삼아 부자가 된 사람은 거의 없다 질문 2: 가까운 친구나 친척이 어려우면 당연히 돈을 빌려줘야 한다? 진실: 가까운 친구나 친척에게 돈을 빌려주면 관계는 엉망이 되어버린다. 돈 문제가 얽히게 되는 한 그들의 관계는 갑과 을의 관계 혹은 채무자와 채권자의 관계로 전락한다 질문 3: 보증을 서는 것은 친구나 친척을 돕는 길이다? 진실: 보증을 서줄 요량이면 돈을 대신 갚을 각오를 하라. 은행에서 보증인을 데려오라는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질문 4: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페이데이론 (급여일에 갚는 조건으로 받는 고금리 소액대출), 렌탈구매(임대후 구매계약)..
2017.02.17 -
하루 세 번, 식욕 피크 타임이 언제?
식욕이 너무해 ‘한 입만 먹어야지’로 시작해 식욕과의 전쟁에 나서지만 결국 텅 빈 접시 바닥을 보며 장렬히 전사한다. 수많은 다이어터는 한결같이 이 같은 실패담을 늘어놓으며 자신의 의지박약을 탓하곤 한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면 유난히 식욕이 당기는 때가 있지 않나? 내 의지를 흔들어 다이어트에 실패하게 만드는 시간대가 늘 찾아왔단 말이다. 영국의 한 연구 발표는 “하루 세 번, 유독 식욕이 왕성해지는 시간대가 있다”며 다이어트 루저로서의 패배감을 달래준다. 매번 다이어트에 실패하는 이유가 전적으로 당신만의 책임이 아닐지도 모른다는 말이다. 이는 영국 조사기관 서플먼츠가 영양학자들과 함께 식사 시간과 영양 섭취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다. 내용인즉, 오전 11시 1분과 오후 3시 13분, 밤 9시 31..
2017.02.16 -
커피, 심장에 약인가 독인가
식사 후나 나른할 때면 꼭 생각나는 커피. 우리나라 사람들의 커피 사랑은 유럽 등 서구인 못지 않다. 한국인의 하루 평균 커피 섭취량은 2잔, 특히 커피 섭취 증가율은 세계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커피의 인기는 대단하다. 단순한 기호 음료만이 아닌 하나의 취미이자 문화로 자리 잡고 있는 커피. 하지만 커피가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여전히 여러가지 '설'이 엇갈린다. 커피, 어떻게 마셔야 건강에 좋을까. 신현재 조선대 생명화학고분자공학과 교수와 서희선 가천대 의대 가정의학과 교수가 13일 KBS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 출연해 '커피, 건강하게 마시는 법'에 대해 소개했다. 커피, 심장에 약인가? 독인가? 커피를 마시면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가슴이 두근거린다는 사람들이 있다. 이와 관련해 서희선..
2017.02.15 -
개그맨김생민의 저축방법
월급의 절반 이상을 저축한다 50% do “내가 회사를 그만두지 못하는 이유의 8할은 적금 만기 때문이다.” 25년차 개그맨 김생민은 데뷔 이후에 한 번도 쉰 적이 없다. 데뷔 이후 성실하게 돈을 모은 그는 후배 개그맨들에게 ‘재테크 고수’로 통한다. 10억이 넘는 자산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그는 저축하며 돈을 모은다. 돈을 대하는 태도는 그의 삶의 철학과도 맞닿아 있다. Why? Cash is King! 미래는 불확실하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과거를 보고 미래를 대비한다. 난 사람들에게 경제 흐름을 읽을 수 있는 그래프를 다이어리에 꼭 적어두라고 권한다. 내가 겪은 경제 위기는 두 번이었다. 1998년 IMF, 그리고 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가 났을 때. 당시 모든 금융 관련 보고서에서 빠지지..
2017.02.14 -
보험가입전 똑똑하게 따져보기
주변 사람의 권유에 무작정 보험을 가입했다 12% do “일단 가입하긴 했는데, 이게 정말 내게 필요한 거야?” 나도 모르는 내 보험 ●온라인으로 보험 찾기 >> 아장아장 걸음마를 배울 무렵 부모님이 대신 가입한 보험. 취업과 동시에 주변의 권유에 무작정 사인부터 한 몇 개의 보험, 복잡한 이야기만 가득한 보험증권은 한 번도 열어본 적이 없고, 보장금액 역시 새까맣게 잊은 지 오래다. 게다가 보험료는 자동이체로 빠져나간다. 이제 와 다시 그 내용을 확인하겠다고 보험사마다 일일이 번거로운 본인인증 절차를 거치며 가입한 보험 내용을 확인할 수는 없다. 자신이 가입한 보험이 궁금할 때는 생명보험협회(www.klia.or.kr)나 손해보험협회(www.knia.or.kr)에서 보험 가입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
2017.02.14 -
돈 모으는 9가지 방법
- 추천 금액 월 80만~1백만원 혹은 그 이상, 추천 기간 1년 적금을 들고 새는 돈을 막아 ‘3천만원’을 모아라 첫 월급을 받고 난 후 혹은 재테크를 시작하기 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3천만원의 벽’을 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가능한 한 많이 적금을 들고 새는 돈을 막아야 한다. ‘새는 돈’이란 지출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잘 알지도 못하면서 가입한 펀드, 7~10년씩 납입해야 하는 종신보험이나 저축보험 등도 포함된다. 이런 상품은 제대로 유지하지 못하면, 원금을 절반 이상 날릴 수도 있기 때문. 적금도 혹시 모를 목돈 지출에 대비해 두 상품에 나눠 넣는다. 나중에 지출이 필요할 경우 하나만 해지하면 되니까. 목돈을 모을 땐 금리 높은 ‘저축은행 적금과 예금’을 활용하라 쥐꼬리 금리 시대지만..
2017.02.14